개관
동남아∙태평양 거석(巨石) 문화의 재조명
본 연구 클러스터는 동남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을 연구하는 학자들을 초대해, 이 지역의 거석(巨石)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거석문화에 대한 낡고 단순한 문화∙역사적 해석과 거석 그 자체의 비합리적이고 비실질적인 해석을 넘고자 본 컨퍼런스는 깊이 있는 논의의 장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거석의 과거 의미, 민족∙역사학적 배경, 현재의 고고학적, 인류학적, 그리고 사회과학적 연구와 문화 유산으로서 논의되는 측면에서 거석을 전반적으로 재평가하고자 한다.
논문은 특정한 출토지를 중심으로 한 연구와 지역(보르네오, 술라웨시, 라오스 등)을 중심으로 다뤘으며, 거석 연구 흐름의 다양한 역사적 고찰 및 고고학, 인류학, 유적 연구에서의 거석 연구 전망을 거시적으로 다룬 연구가 한 자리에 모일 것이다.
본 연구 클러스터는 동남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을 연구하는 학자들을 초대해, 이 지역의 거석(巨石)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거석문화에 대한 낡고 단순한 문화∙역사적 해석과 거석 그 자체의 비합리적이고 비실질적인 해석을 넘고자 본 컨퍼런스는 깊이 있는 논의의 장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거석의 과거 의미, 민족∙역사학적 배경, 현재의 고고학적, 인류학적, 그리고 사회과학적 연구와 문화 유산으로서 논의되는 측면에서 거석을 전반적으로 재평가하고자 한다.
논문은 특정한 출토지를 중심으로 한 연구와 지역(보르네오, 술라웨시, 라오스 등)을 중심으로 다뤘으며, 거석 연구 흐름의 다양한 역사적 고찰 및 고고학, 인류학, 유적 연구에서의 거석 연구 전망을 거시적으로 다룬 연구가 한 자리에 모일 것이다.
참여인원
이름 |
연구지역 |
소속 |
Mike T. Carson | 서태평양 |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
Ron Adams | 인도네시아(숨바) | Simon Fraser University, Canada |
Ayu Kusumawati | 인도네시아(숨바) | Research Centre for Archaeology, Denpasar, Bali |
Bagyo Prasetyo | 인도네시아 | National Research Centre for Archaeology, Jakarta |
Dominik Bonatz | 인도네시아(수마트라) | Freie Universitat Berlin |
Lindsay Lloyd-Smith | 말레이시아(보르네오) | 서강대 동아연구소 |
Monica Janowski | 말레이시아(보르네오) |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
Julie van der Bergh | 라오스 | Archaeological Assessments Ltd, Hong Kong |
Samlane Luangaphay | 라오스 | Department of Heritage, Ministry of Information, Culture and Tourism, Laos |
CHAO Chin-yung | 대만 | Institute of History and Philology, Academia Sinica, Taiwan |
Dwi Yani Yuniawati | 인도네시아 | National Research Centre for Archaeology, Jakarta |
Ali Akbar | 인도네시아 | Department of Archaeology, Universitas Indonesia |
일정
국제회의 : 동남아∙태평양 거석(巨石) 문화의 재조명
2014년 10월 16 ~ 10월 17일, 서강대학교
2014년 10월 16 ~ 10월 17일, 서강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