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visual

역사교육전공

대학원 교육과정
역사교육전공 교육과정은 ‘역사’ 전공 기본이수과목에 준하여 6개 영역별로 고루 수강과목을 개설하고 있습니다.
☞ 역사교육전공 교과목 [편람]
2022~2025년 강의개설 현황
2022년도  2023년도  2024년도  2025년도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1학기
역사교과교육론 역사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역사교과교육론

 역사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역사교과교육론

역사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역사교과교육론

김민정

김민정

이소은

이소은 이소은 

김민정·김태훈

김태훈·천하은

역사교과 논리
및 논술

서양현대사연구 역사교과 논리
및 논술

 역사교육 현장 연구방법론 역사교과 논리 및 논술  박물관과 역사교육 

역사교과 논리 및 논술

김민정

박단

김민정

김민정 김민정 

김민정

김민정 

동양사 사료 학습론 한국 사상·문화사

 한국현대사 연구

한국근세사 연구 

 한국 대외교류사 한국근세사연구 

한국사 사료 학습론

정면 조범환 정일영 

계승범

 조범환 계승범  조범환 
한국근세사연구 한국사 특강

서양전근대사 

 동아시아 근현대사  서양사 연습 동아시아 전근대사 

한국 사회경제사

계승범 조은성 교수

박효근

 방향숙  박효근 정면  계승범 
서양사 연습   20세기 현대사   서양 현대사 연구   
백인호   박단   박단   

※ 교직이수자는 전공 필수로 역사교과교육론, 역사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역사교과 논리 및 논술 3 과목을 반드시 수강해야 합니다.
※ 그 외 자격증 획득 시 필요한 과목과 학부 과목 인정 등은 교육대학원 홈페이지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박물관과 역사교육은 ‘에튜테크 기반 교육 콘텐츠 설계 마이크로전공’ 교육과정에 포함됩니다.
 

아울러 석사학위논문 작성에 도움을 주기 위해 논문작성법 특강과 역사교육 연구방법론 특강, 논문 템플릿을 제공하고, 졸업생들의 우수 논문이 학회지에 게재되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정경민·김민정(2023),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역사과 예비교사 수업 시연: 활용과 효과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27(4)

이유경·김민정(2022), 원격 역사 수업의 현황 및 활용 가능성에 대한 모색, 교과교육학연구26(1).

김설아·김민정(2021), 역사학의 학문적 인식체계에 대한 경험에 비추어 본 역사교사의 교과서 독해, 교과교육학연구25(4).

김민정·이현지(2020), 역사 수업의 지향과 실행에 대한 인식 - 교사 설문을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38.

이현지·김민정(2019), 역사과 교육실습생의 수업 실행과 교사양성과정에 대한 인식, 역사교육논집72.

김민정·김재훈(2016), 조선전기 정치사에 대한 역사교과서의 이항대립적 서술과 교사의 인식, 역사와 세계49.

김민정·전형근(2014), 역사 수업과 연계된 박물관 학습프로그램 구성과 실행, 역사교육논집52.

강현욱·김민정(2012), 역사 교과서 탐구활동 분석·평가 연구 -중학교 역사()고려 단원을 중심으로, 역사교육논집49.

김성전·백인호(2012), 학생 제작 UCC를 통한 초등학교 사회과(역사영역)의 체험학습 모형 개발, 역사교육논집48.

최지현·김민정(2010), 역사교과서 그림삽화의 유형과 평가기준 -현행 중학교 세계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역사교육논집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