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visual
다전공 경로

                   학년


분야
(영역)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국어학 국어학입문
언어이론개설

국어음운론
국어어휘론

국어형태론
국어의 문장구조
중세국어강독

국어통사론

국어의미론
국어방언론
국어사

필사본 자료 연구
국어담화화용론
언어와 사회

국어학사
고전문헌해독
언어정보이론
국문학공통

문장과 수사
한문I
한문II

문학과 문화
문학사회학
구비문학론

국문학과 전통문화
여성문학의 사적이해
서사학
문학과융합적상상력

문학과 인접과학
국문학과 세계문학
문학주체학
고전문학 국문학개설
고전문학사
민속학개론

고전시텍스트읽기
고전소설텍스트읽기

고전수필론
한문학강독

설화 문학의 이해
한시와 한시론
고전소설론
시조와 가사
한문과한문학

동양고전의 현대적 해석
고전시가론
고전비평론
판소리연행론
전통연희론
현대문학

문학이란 무엇인가

현대시텍스트읽기I
현대소설텍스트읽기I

현대시텍스트읽기II
현대소설텍스트읽기II
현대문학사
희곡과 공연
희곡론

현대시론
현대비평론
영상문학론
현대소설론
현대비평텍스트읽기
현대희곡텍스트읽기
문학비평과 수사학
문예창작론
소설과 영화
법과 문학


심화전공경로

                 학년


분야
(영역)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공통 국어국문학특강
국어학 국어학입문
언어이론개설

국어음운론
국어어휘론
국어형태론
국어의 문장구조
중세국어강독

국어통사론

국어의미론
국어방언론
국어사

필사본자료연구
국어담화화용론
언어와 사회

국어학사
고전문헌해독
언어정보이론
국어학연습
국어학연구방법론
국어학자료연구
국문학공통

문장과 수사
한문I
한문II

문학과 문화
문학사회학
구술문학론

국문학과 전통문화
여성문학의 사적 이해
서사학
문학과융합적상상력

문학과 인접과학
국문학과 세계문학
문학주체학
고전문학 국문학개설
고전문학사
민속학개론

고전시텍스트읽기
고전소설텍스트읽기

고전수필론
한문학강독

설화문학의이해
한시와한시론
고전소설론
시조와가사
한문과한문학
동양고전의 현대적 해석
고전시가론
고전비평론
판소리연행론
전통연희론
고전문학연습
고전문학연구방법론
고전문학자료연구
현대문학

문학이란 무엇인가

현대시텍스트읽기I
현대소설텍스트읽기I

현대시텍스트읽기II
현대소설텍스트읽기II
현대문학사
희곡과 공연
희곡론

현대시론
현대비평론
영상문학론
현대소설론
현대비평텍스트읽기
현대희곡텍스트읽기

문학비평과 수사학
문예창작론
소설과 영화
법과 문학

현대문학연습
현대문학연구방법론
현대문학자료연구


실용전공경로

                 학년


분야
(영역)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공통

디지털인문학강독
국어능력과 글쓰기
언론문장작법
출판문화기획(캡스톤디자인)
광고카피라이팅과 전략적글쓰기
융합적미디어글쓰기

국어국문학현장실습

국어학 국어학입문
언어이론개설

국어음운론
국어어휘론
국어형태론
국어의 문장구조
중세국어강독

국어통사론

국어의미론
국어방언론

국어사

필사본자료연구
국어담화화용론
언어와 사회

국어학사
고전문헌해독
언어정보이론
국어와 생활
언어와 컴퓨터
한국어전산언어학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국문학공통

문장과 수사
한문I
한문II

문학과 문화
문학사회학
구비문학론

국문학과 전통문화
여성문학의 사적이해
서사학
문학과융합적상상력

문학과 인접과학
국문학과 세계문학
문학주체학
이야기와 이야기 창작
문학과 문화콘텐츠
고전문학 국문학개설
고전문학사
민속학개론

고전시텍스트읽기
고전소설텍스트읽기

고전수필론
한문학강독

설화 문학의 이해
한시와 한시론
고전소설론
시조와 가사
한문과 한문학

동양고전의 현대적 해석
향가와 고려시가
고전비평론
판소리연행론
전통연희론
현대문학

문학이란 무엇인가

현대시텍스트읽기I
현대소설텍스트읽기I

현대시텍스트읽기II
현대소설텍스트읽기II
현대문학사
희곡과 공연
희곡론

현대시론
현대비평론
영상문학론
현대소설론
현대비평텍스트읽기
현대희곡텍스트읽기

문학비평과 수사학
문예창작론
소설과 영화
법과 문학



전공과목 일람

전공분류

과목명

시간

학점

과목소개

 전공기초

 KOR2001

국어학입문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국어학의 제 분야와 방법론을 소개하고 기왕의 학설을 살피며, 이를 토대로 국어학의 연구 과제를 모색한다.

 전공기초

 KOR2200

국문학개설

 강의 3시간

 3

국문학의 범위, 특성, 내용 등을 개략적으로 다룬다. 

 전공기초

KOR2201

문학이란 무엇인가 

 강의 3시간

 3

국어국문학전공 학생을 위한 강의로서 문학의 개념, 범위, 성격, 연구 방법 등을 다룬다. 

 전공일반

KOR3001

언어이론개설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언어이론의 기초를 학습하여 국어 연구의 밑바탕을 닦는다. 

 전공일반

KOR3002

국어음운론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국어의 음소와 운소, 음절, 변별적 자질, 음운 과정의 특징을 학습하고, 이러한 음운론적 현상을 다룬 국어 자료를 기술하고 설명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전공일반

KOR3003

국어의 문장구조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현대 통사론의 기초이론을 토대로 국어의 문장구조를 분석하고 설명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전공일반

KOR3004

국어형태론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형태소의 개념, 식별 원리, 종류 등을 익히고 곡용과 활용의 공시적 체계 수립과 통시적 변화 과정 등을 파악한다. 

 전공일반

KOR3005

국어의미론 

강의 3시간 

 3

어휘의 의미구조를 분석하고, 문장의 의미가 합성적으로 산출되는 과정과 그에 관여하는 규칙, 제약 등을 소개한다. 

 전공일반

KOR3006

국어방언론 

강의 3시간 

 3

방언 자료의 수집, 분류와 해석 및 방언 지도의 작성 등에 대한 방법을 익히고, 각 지역 방언의 음운, 문법, 의미론 상의 제반 특질을 대조 및 비교하여 강의한다. 

 전공일반

KOR3007

국어담화화용론 

강의 3시간 

 3

언어 표현과 맥락의 관계를 토대로, 함축, 화행, 직시 등에 대한 화용적 해석의 방법과 실제를 익히고, 담화의 체계와 작동 방식 및 정보구조 등을 분석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전공일반

KOR3009

고전문헌해독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국어학, 국문학의 각종 고전 문헌을 빠르고 정확하게 독해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전공일반

KOR3010

중세국어강독 

강의 3시간 

 3

중세국어의 원전을 강독하여 당대의 음운, 문법, 어휘 구조 등을 살핀다. 

 전공일반

KOR3011

언어정보이론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언어 정보 처리를 위한 언어 이론 및 전산학, 사전학 등 관련 학문 분야의 주요 이론을 소개하고 언어 정보 처리의 과정과 그 실제를 연구한다. 

 전공일반

KOR3012

언어와 사회 

강의 3시간 

 3

언어의 사회적 기능 및 사회계층과 언어의 관계를 연구한다. 

 전공일반

KOR3015

국어사 

강의 3시간 

 3

국어사의 시대 구분을 논의하고 국어의 계통으로부터 시작하여 고대국어, 중세국어, 근대국어, 현대국어에 이르기까지 국어가 겪어온 역사적 변천과정과 변화의 원리를 다룬다. 

 전공일반

KOR3016

국어학사 

강의 3시간 

 3

국어학 제 분야에 걸쳐 각 주제들에 대한 학설을 중심으로 연구사를 다룬다. 특히 개화기 이후 국어연구의 계보 파악과 최근에 문제되는 주제들에 대한 각 이설들 간의 논쟁 내용을 검토하여 그것들의 발전적 지향을 모색한다. 

 전공일반

KOR3018

국어통사론 

강의 3시간 

 3

한국어 통사론의 주요 현상을 살피고, 일반언어학 이론을 바탕으로 언어 보편성과 한국어의 개별성을 포괄할 수 있는 설명방안을 모색한다. 

 전공일반

KOR3019

필사본자료연구 

강의 3시간 

 3

한글편지류, 왕실문헌류, 실용서류, 연행록 및 표해록류, 기타(실기류 및 고소설류) 등 한글 필사본 자료의 원전을 판독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배양하고, 탐구한 자료를 바탕으로 새로운 연구 주제를 탐색한다. 

 전공일반

KOR3020

국어어휘론 

강의 3시간 

 3

어휘의 개념, 유형, 의미, 변화, 계량, 어휘와 사전 등을 중심으로 우리말 어휘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펴본다. 

 전공일반

KOR3201

한문 Ⅰ 

강의 3시간 

 3

인문계 전공학생을 위한 제2외국어 강의로서, 중국과 한국의 한문을 독해할 수 있는 기초 능력을 함양한다. 

 전공일반

KOR3202

한문 Ⅱ 

강의 3시간 

 3

인문계 전공학생을 위한 제2외국어 강의로서, 중국과 한국의 한문을 독해할 수 있는 기초 능력을 함양한다. 

 전공일반

KOR3203

구비문학론 

강의 3시간 

 3

국문학 구성 장르로서 구비문학의 개념, 범위, 특성, 내용 등을 다룬다. 

 전공일반

KOR3204

국문학과 전통문화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국문학의 지속성과 변화를 개관하면서 종교사상 및 전통 예술 등 한국 문화 전반에 대한 통시적 시야를 마련한다. 

 전공일반

KOR3205

문장과 수사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일반문장 수사, 예술문장 수사, 언론문장수사, 광고문장 수사 등 문장과 수사에 관하여 학습한다. 

 전공일반

KOR3206

서사학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서사학의 흐름을 개관하고 우리 문학과의 관련성을 탐구한다. 

 전공일반

KOR3207

문학과 인접과학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문학과 언어학, 민속학, 역사학, 철학, 사회학, 심리학, 인류학 등 인접과학과의 관계를 개관하고 심화 학습한다. 

 전공일반

KOR3208

문학과 문화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문학과 문화의 제반 관련 양상을 탐구한다. 

 전공일반

KOR3209

문학주제학 

강의 3시간 

 3

테마·모티프·이미지·상징 등의 지속과 변화상을 탐색하여 문학사적 통합원리를 이해하고, 문학 이해의 심층적 지평을 모색한다. 

 전공일반

KOR3210

여성문학의 사적이해 

강의 3시간 

 3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한국 문학의 역사적인 전개를 검토함으로써 여성문학의 사적이해를 도모한다. 

 전공일반

KOR3211

문학사회학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문학 작품을 사회 현상과 관련하여 해석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전공일반

KOR3212

국문학과 세계문학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동양문학, 나아가서는 세계문학 속의 한국문학의 위치를 다룬다. 

 전공일반

KOR3213

문학과융합적상상력 

강의 3시간 

 3

문학을 비롯하여 다양한 예술 텍스트에서 융합적 상상력이 어떻게 발휘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의의를 탐구한다. 

 전공일반

KOR3214

전공진로설계 

강의 0시간 

 0

학생들은 이 과목을 통해 지도교수로부터 전공 진로에 대한 조언을 들을 수 있고, 해당 전공 출신의 선배들의 다양한 사례를 통해 자기 주도적으로 진로를 설계할 수 있다. 

 전공일반

KOR3300

고전문학사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근대 이전의 국문학의 사적 흐름을 다룬다. 

 전공일반

KOR3301

고전시텍스트읽기 

강의 3시간 

 3

고전시가 작품을 읽고, 연구 방향을 모색한다. 

 전공일반

KOR3302

고전소설텍스트읽기 

강의 3시간 

 3

춘향전·구운몽·홍길동전 등 가치 있는 고전소설 텍스트를 읽고 작품을 비평하고 문화사적 의미를 파악한다. 

 전공일반

KOR3303

고전수필론 

강의 3시간 

 3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고전적 가치가 있는 수필 명문을 학습한다. 

 전공일반

KOR3304

한문과 한문학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한문에 대한 소양을 바탕으로 중국과 한국의 한문학을 이해하고 한국 한문학 작가와 작품을 연구·비평할 수 있는 기초 능력을 함양한다. 

 전공일반

KOR3305

고전시가론 

강의 3시간 

 3

한국 고전시가의 이론을 고찰하고, 주요 작품과 작가 등을 살펴본다. 

 전공일반

KOR3306

시조와 가사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시조, 가사, 판소리 사설 등을 대상으로 고전시가의 특질과 문학적 구조를 다룬다. 

 전공일반

KOR3307

고전소설론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고전적 가치가 있는 조선조의 소설을 중심으로 작품 분석 능력을 기르고 공시적 특질 및 통시적 변화를 개관한다. 

 전공일반

KOR3308

민속학개론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국문학을 위한 보조 과학으로서의 민속학에 대하여 개관한다. 

 전공일반

KOR3309

한문학 강독 

강의 3시간 

 3

한국 한문학의 작품에 대한 이해와 문헌고찰 및 작품 비평의 구체적 훈련을 한다. 

 전공일반

KOR3310

고전비평론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한국의 고전비평에 해당되는 한국 한문학비평을 이해하고 연구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기 위하여 중국과 한국의 전통적인 문학사상과 문학이론을 학습한다. 

 전공일반

KOR3311

동양고전의 현대적 해석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동양고전을 현대적 시각에서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를 함양한다. 

 전공일반

KOR3312

전통연희론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한국의 탈춤과 꼭두각시놀음 등 다양한 전통극을 연구한다. 

 전공일반

KOR3313

판소리연행론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판소리가 현장 공연될 때의 음악적·극적 구조와 미학 등에 대해 연행이론으로 접근한다. 

 전공일반

KOR3314

한시와 한시론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한시와 한시의 이론을 고찰하면서 한시를 이해하고 비평하는 안목을 기른다. 

 전공일반

KOR3315

설화 문학의 이해 

강의 3시간 

 3

한국 주요 설화 문학을 감상하고, 해석과 분석의 방법론을 배우며 그 의미를 심화한다. 

 전공일반

KOR3400

현대문학사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한국 현대문학의 사적 흐름을 다룬다. 

 전공일반

KOR3401

현대시텍스트읽기Ⅰ 

강의 3시간 

 3

개화기에서 해방 직전까지 현대시 텍스트를 읽고,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바탕으로 복합적 해석을 시도한다. 

 전공일반

KOR3402

현대소설텍스트읽기Ⅰ 

강의 3시간 

 3

개화기에서 해방 직전까지 소설 텍스트를 읽고 텍스트 비평을 훈련하면서 각 텍스트의 통시적 위치를 설정하는 작업을 통하여 본격적인 연구 방법을 탐색한다. 

 전공일반

KOR3403

현대희곡텍스트읽기 

강의 1시간, 세미나 2시간 

 3

해방 이후의 다양한 형태의 희곡을 선택하여 체계적 분석을 시도한다. 

 전공일반

KOR3404

현대비평텍스트읽기 

강의 1시간, 세미나 2시간 

 3

현대비평 이론을 바탕으로 현대문학과 비평 텍스트들을 비평적으로 읽고 비평 작업의 실제를 심화, 학습한다. 

 전공일반

KOR3405

현대시텍스트읽기Ⅱ 

강의 3시간 

 3

해방 이후의 현대시 텍스트를 읽고, 다양한 연구방법론을 제공하여 복합적 해석을 시도한다. 

 전공일반

KOR3406

현대소설텍스트읽기Ⅱ 

강의 3시간 

 3

해방 이후부터 동시대까지 소설 텍스트를 읽고, 텍스트 비평을 훈련하면서 각 텍스트의 통시적 위치를 설정하는 작업을 통하여 본격적인 연구 방향을 탐색한다. 

 전공일반

KOR3407

희곡과 공연 

강의 1시간, 세미나 2시간 

 3

희곡이 무대화되는 과정과 공연의 사회적·문화적 맥락을 연구한다. 그리고 극작술연구가로서 공연에 기여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희곡의 무대화를 실현한다. 

 전공일반

KOR3408

현대시론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한국 현대시의 이론과 방법을 탐구하고, 현대시 비평의 역량을 함양한다. 

 전공일반

KOR3409

현대소설론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한국 현대소설의 공시적 동질성에 대하여 비평론적으로 접근하고 그 역사적 변천에 대하여 개관한다. 

 전공일반

KOR3410

희곡론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희곡의 이론을 작품에 적용하여 탐구한다. 

 전공일반

KOR3411

현대비평론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작가 및 작품 연구로서의 비평과 문학 일반론을 포괄하는 문학 연구의 구체적인 방법론을 다룬다. 

 전공일반

KOR3412

문학비평과 수사학 

강의 3시간 

 3

수사학의 이론을 섭렵하고 수사학적 비평의 이론과 실제를 심화 학습한다. 

 전공일반

KOR3413

영상문학론 

강의 1시간, 세미나 2시간 

 3

문학 속의 영상 이미지와 영상의 문학화를 탐구한다. 영상 이미지가 지배하는 시대에 영화와 문학의 상호 영향과 교류를 살펴봄으로써 문학의 영역을 확장한다. 

 전공일반

KOR3414

소설과 영화 

강의 1시간, 세미나 2시간 

 3

멀티미디어 시대의 서사물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의 한 방법으로서 소설과 영화 사이의 긴밀한 상호관계를 소설과 영화 텍스트의 비교 검토를 통해 알아본다. 

 전공일반

KOR3415

문예창작론 

강의 1시간, 세미나 2시간 

 3

문예창작의 이론과 실제를 체계적으로 학습하여 창작능력을 함양한다. 

 전공일반

KOR3416

법과 문학 

강의 3시간 

 3

전통적 인문과학인 문학과 사회과학인 법학이 만나는 접점에서 제기되는 인문학의 근본적인 문제를 인식하고 학제 간의 이해를 넓힌다. 

 전공일반

KOR3417

문학으로 바라본 현대사회 

강의 3시간(원격수업) 

 3

문학 텍스트를 폭넓게 접하고 현실 생활과 연계함으로써, 문학과 사회 현상과의 접점을 찾는 능력을 함양한다. 

 심화전공

KOR4000

국어국문학특강 

강의 3시간 

 3

국어국문학의 개별 주제 및 최근 연구 동향을 심도 있게 살피고 연구 주제를 발굴한다. 

 심화전공

KOR4001

국어학연습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국어학 분야의 전문적 논제에 대한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한다. 

 심화전공

KOR4300

고전문학연습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고전문학 분야의 전문적 논제에 대한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한다. 

 심화전공

KOR4400

현대문학연습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현대문학 분야의 전문적 논제에 대한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한다. 

 심화전공

KORG001

국어학연구방법론 

강의 3시간 

 3

국어학의 자료를 해석하고 이를 토대로 한 이론 구축 방안을 연구한다. 

 심화전공

KORG002

국어학자료연구 

강의 3시간 

 3

국어학의 연구사 검토를 통해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모색하고 각기 주어진 분야의 자료를 정리하여 새 자료가 갖는 가치를 연구한다. 

 심화전공

KORG011

고전문학연구방법론 

강의 3시간 

 3

한국 고전문학 연구의 주요 방법론 및 쟁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새로운 연구 방법론을 모색한다. 

 심화전공

KORG012

고전문학자료연구 

강의 3시간 

 3

고전문학 연구사 검토를 통해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모색하고 각기 주어진 분야의 자료를 정리하여 그 자료가 갖는 가치를 재조명한다. 

 심화전공

KORG021

현대문학연구방법론 

강의 3시간 

 3

현대문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론과 국면, 분야, 쟁점 등을 심화 학습한다. 특히 역사주의, 형식주의, 구조주의, 탈구조주의, 사회문화적 비평, 심리비평, 신화비평, 여성주의 비평, 탈식민주의 비평 등 주요 연구방법론의 핵심을 이해하고, 각 방법론에 입각하여 한국 현대문학을 해석하면서 연구 방법의 쟁점들을 토론하며, 한국 현대문학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한다. 

 심화전공

KORG022

현대문학자료연구 

강의 3시간 

 3

한국 현대문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기본 자료와 텍스트 확정, 개작 과정 추적 등을 학습한다. 즉 텍스트 고증과 확정, 대표적인 개작 사례 연구, 2차 자료 비판방법 등을 학습하면서 전문 연구자로서의 기본 소양을 익힌다. 

 실용전공

KOR3017

국어능력과 글쓰기 

강의 3시간 

 3

대학인이자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교양 있으면서도 다채로운 국어능력을 배양하고, 대학생활을 포함하여 전 생애에 걸쳐 요구되는 여러 영역의 글쓰기 능력을 체화한다. 

 실용전공

KOR400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일반언어학 이론과 언어교육학 이론의 연계성을 살피고 언어교육학의 이론적 기초와 지식의 습득을 통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개념과 한국어교육 교재, 교수법, 평가 등에 대한 응용언어학적 내용을 다룬다. 

 실용전공

KOR4500

국어와 생활 

강의 3시간 

 3

철자법, 외래어 표기법 등 국어 정서법의 제 분야를 다룬다. 한글 맞춤법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을 기초로 하여, 정서법의 제 문제에 대한 합리적 방안을 모색하고 외래어, 한자 사용과 관련된 문자 정책 등 국어정책 전반에 대한 문제점들을 강론한다. 

 실용전공

KOR4501

언어와 컴퓨터 

강의 2시간, 세미나 1시간 

 3

언어학의 컴퓨터 응용을 다룬다. 특히 자연언어 처리에 대한 이론적 문제를 탐구한다. 

 실용전공

KOR4502

언론문장작법 

강의 3시간 

 3

신문 기사나 칼럼 등 언론의 문장을 집중적으로 읽고 언론에 적절한 문장 작법과 문장 연습을 한다. 

 실용전공

KOR4503

디지털인문학강독 

강의 3시간 

 3

디지털 문명의 근원, 현황, 미래를 다룬 논저들을 독해하고, 인문학의 관점에서 디지털 문명을 성찰하여 디지털 인문학 연구의 초석을 다진다. 

 실용전공

KOR4504

문학과 문화콘텐츠 

강의 1시간, 세미나 2시간 

 3

다양한 한국문학과 문화 자료를 바탕으로 새로운 문화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는 이론을 탐구하고 그 실제 방법을 연습한다. 

 실용전공

KOR4505

이야기와 이야기 창작 

강의 1시간, 실습 2시간 

 3

소설과 시나리오와 같은 허구의 이야기 및 자서전, 평전, 에세이 같은 생애이야기의 본질과 효용에 대한 이해 위에서, 실제로 그런 이야기들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지 창작연습과 첨삭 및 토론을 통해 학습한다. 

 실용전공

KOR4506

출판문화기획(캡스톤디자인) 

강의 3시간 

 3

시장 조사를 비롯하여 출판 콘텐츠를 기획하고 편집하는 전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소비자가 아니라 생산자로서 출판문화에 참여해 보고, 이를 통해 출판문화의 인문학적 의의를 살펴본다. 

 실용전공

KOR4507

국어국문학현장실습 

실습 160시간(계절학기 개설) 

 3

전공에 관련된 업무의 체험을 통해 전공지식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고 현장 적응력을 기른다. 

 실용전공

KOR4508

한국어 전산언어학 

강의 3시간 

 3

언어학에 전산학을 융합한 학문으로서의 전산언어학을 이해하고, 전산학적 방법론에 기초하여 한국어를 연구하고 컴퓨터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처리하는 데에서 생기는 언어학적 문제들을 탐구한다. 

 실용전공

KOR4509

고전 자료 아카이빙 

강의 1.5시간(탐구공동체) 

 1.5

전근대 시기 우리나라에서 작성된 기초자료를 현대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한문 텍스트의 번역 및 해석 과정을 통해 고전 자료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현대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디지털 아카이빙의 중요성을 학습한다. 

 실용전공

JAS3006(구 COM3123)

융합적미디어글쓰기 

강의 3시간 

 3

텍스트라는 일차원적 접근이 아니라 독자의 정보 욕구를 충족시키는 융합적 관점에서 신문, 잡지, 온라인 매체 등 다양한 매체의 기사를 작성하는 법을 배운다. 융합적 관점은 독자와 소통하는 다차원의 방식을 기사에 담는 방법으로 나타난다. 

 실용전공

JAS3009(구 COM3210)

광고카피라이팅과 전략적글쓰기 

강의 3시간 

 3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은 광고와 홍보, 헬스커뮤니케이션 등 대체로 특정한 Client와 소통 대상이 명확하며 매우 목적 지향적인 소통 활동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과정에서 소용되는 다양한 글쓰기에 대한 방법 및 사례들을 다룬다. 

 졸업논문

KOR4099

개별연구논문 

강의 0시간 

 3

국어국문학 전공 지식을 바탕으로 연구 주제를 발굴하여 연구하고 학술논문을 작성한다. 

 교직과목

KORQ981

국어교과교육론 

강의 3시간 

 3

국어 교과 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평가 등에 대한 다양한 이론과 관점을 고찰하며, 중·고등학교 국어 교육 과정의 실제를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교직과목

KORQ982

국어교과논리 및 논술 

강의 3시간 

 3

국어 교과의 구조와 특성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토대로, 국어 교과의 내용과 원리를 소재로 한 논리적 사고력의 함양과 논술지도 능력을 기른다. 

 교직과목

KORQ983

국어교과 교재연구 및 지도법 

강의 3시간 

 3

중·고등학교 국어 교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등에 대한 체계적 분석과 국어 교수방법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이해를 통해 국어 교과를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실천적 자질을 함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