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visual
개요
사업유형: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전략적 지역연구형)
연구과제명: 한-아세안 상생과 번영을 위한 사회⋅문화 지식 기반 구축
연구기간:
- 1단계: 2019년 9월 1일 ~ 2022년 8월 31일
- 2단계: 2022년 9월 1일 ~ 2025년 8월 31일
연구목표
2017년부터 추진된 ‘신남방정책’은 사람, 상생·번영, 평화, 즉 3P(People, Prosperity, Peace)로 대변되는 새로운 남방전략.
서강대 동아연구소는 ‘한-아세안 상생과 번영을 위한 사회·문화 지식 기반 구축’이라는 연구주제를 설정하고 한반도의 남방진출이 
상호이해의 기반 위에 추진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함. 본 연구는 크게 세 가지의 목표를 가지고 있음

연구내용
- 1단계: 동남아시아 사회문화 지식 기반 구축(완료)
신남방정책이 추구하는 사람, 상생·번영, 평화의 대동남아 관계 구현에 대응하기 위하여 내재적인 사회문화적 요소들
즉, ① 사회적 관계와 문화적 특성 ② 동남아 고유의 구조적 특징과 제도를 탐색·분석하여 동남아 사회문화의 지식 기반을 구축

구분

소프트웨어화

전문화

인적 교류 증대를 위한 동남아 사회문화 지식 기반 구축
(이주, 관광, 문화유산, 사회통합, 삶의 질 개선 등)

1차년

- 한국-동남아 사람들의 상대국가에 대한 정보 수요 파악 

  (ex. 이주, 유학, 관광 등)
- 수요에 따른 맞춤형 정보 생산
- 소프트웨어화된 정보 공급(SNS 등 미디어 활용)

- 이주민 사회와 혼종적 문화
- 관광 추동 요인의 사회문화적 이해
- 문화유산 복원 관련 제도와 실태 연구
- 동남아인들의 친밀감과 사회적 관계망
- 보건의료 체계에 대한 공동체적 함의

상생의 경제협력을 위한 동남아 사회문화 지식 기반 구축
(개발협력, 체제전환 국가들의 경제발전, 맞춤형 협력모델 개발, 4차 산업혁명 등)

2차년

- 한국-동남아 사람들의 상대국가에 대한 정보 수요 파악
  (ex. 기업투자, 개발 협력, 산업정책, 

  4차 산업혁명 관련 분야 등)

- 수요에 따른 맞춤형 정보 생산
- 소프트웨어화된 정보 공급(SNS 등 미디어 활용)

- 개발협력 대상 지역의 지역 맥락 이해
- 원조의 성과와 수원국의 사회제도
- 현장밀착형 ODA 기반 개발협력 방안
- 국가별 맞춤형 협력 수요 연구
- 4차산업혁명과 스마트시티

평화적인 안보환경 구축을 위한 동남아 사회문화 지식 기반 구축
(국제관계, 정상외교, 외교정책, 한반도 평화 번영 등)

3차년

- 한국-동남아 사람들의 상대국가에 대한 정보 수요 파악 

  (ex. 외교정책, 아세안 지역인식 등)
- 수요에 따른 맞춤형 정보 생산
- 소프트웨어화된 정보 공급(SNS 등 미디어 활용)

- 사회문화적 가치와 국제관계 접근법
- 주변국들의 대아세안 외교정책
- 대동남아 외교 모델 수립을 위한 방안
- 신남방정책의 국제관계접근법 모색
- 한반도 평화를 위한 대동남아 외교


- 2단계: 한-아세안 사회문화 이해의 거버넌스 구축
지속가능한 한-아세안 동반자 관계를 위해 1단계에서 축적한 사회문화적 지식을 토대로 ①사람(people: 이주, 관광, 삶의 질 개선 등),
② 상생·번영(prosperity: 개발협력, 국가별 맞춤형 협력모델 등), ③ 평화(peace: 아세안의 대외관계 및 국가별 외교 관계 등) 분야에서의
거버넌스 구축을 모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