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강대학교 심리학과 상담심리 전공은 과학자-실무자 모델(scientist-practitioner model)을 기반으로 상담심리학의 이론적·실천적 역량을 갖추고 상담심리학 분야를 선도할 차세대 교육 및 연구자를 양성합니다. 교과목은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론 수업부터 실습 수업까지 실제 상담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지식과 상담 및 연구 역량을 배양합니다.
- 학생들은 1년차에 전공필수 과목인 ‘고급심리통계’, ‘고급성격심리학’, ‘상담 및 심리치료이론’ 수업을 통해 상담과 연구의 기초를 쌓습니다. 이후 실습을 위해 요구되는 선수과목으로 ‘상담면접의 이론과 실제’와 ‘심리진단 및 평가’를 수강하여 실제 상담에 필요한 기본 지식과 기법을 배우게 됩니다. 2년차에 학생들은 심리학과 산하 열린상담소 혹은 학생생활상담연구소에 소속되어 상담 실무 역량을 키우게 되는데, ‘고급상담/임상현장실습 I·II ’, ‘상담사례 관리 I·II’ 수업과 연계하여 상담 실무에 직접 참여하고 교육을 받게 됩니다. 실습수업은 소규모로 진행되며 수업내에서 현장경험이 풍부한 전문가 선생님들의 교육과 수퍼비전을 받게 됩니다. 이후 학생들은 자신의 관심사와 향후 진로에 따라 ‘정신역동적심리치료’, ‘인지 행동치료’, ‘아동, 청소년 상담 및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진로상담의 이론과 실제’, ‘다문화 상담의 이론과 실제’, ‘고급 집단상담의 이론과 실제‘, ‘고급 가족 치료의 이론과 실제’, ‘애착과 부모-자녀관계 세미나’, ‘정서 및 정서장애’, ‘투사검사’ 등을 선택적으로 수강하여 보다 세부영역에서의 전문적인 역량을 기르게 됩니다.
- 학생들은 연구역량을 배양하기 위해 ‘고급심리통계’, ‘다층모형의 이해와 적용’, ‘다변량분석연구’, ‘구조방정식 모형의 이해와 적용’, ‘실험설계 및 통계분석, ‘상담 및 임상 연구설계의 이해’, '상담 및 임상 심리 연구 방법', '상담심리 연구 강독 세미나' 등을 수강할 수 있으며, 지도교수님의 지도하에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논문지도를 받게 됩니다. 이처럼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상담심리전공은 이론과 실습이 연계된 커리큘럼을 통해 과학자이자 실천가인 상담전문가를 양성합니다.
상담심리전공 수강과정
1학기 |
2학기 |
3학기 |
4학기 |
5학기 |
전공필수 및 실습선수 |
실습과목 |
논문 |
||
전공선택 |
상담심리전공 개설 교과목
구분 |
과목번호 |
과목명 |
학점 |
전공 필수 |
PSY6001 |
고급심리통계
|
3.0 |
PSY6100 |
고급성격심리학
|
3.0 |
|
PSY6101 |
상담및심리치료이론
|
3.0 |
|
실습 선수 |
PSY6105 |
상담면접의이론과실제
|
3.0 |
PSY6106 |
심리진단및평가
|
3.0 |
|
실습 |
PSY6132 |
고급상담/임상현장실습I
|
3.0 |
PSY6132 |
고급상담/임상현장실습II
|
3.0 |
|
PSY6142 |
상담사례 관리 II
|
2.0 |
|
PSY6143 |
상담사례 관리 I
|
2.0 |
|
전공 선택 |
PSY6102 |
고급이상심리학
|
3.0 |
PSY6107 |
투사검사
|
3.0 |
|
PSY6110 |
정신역동적심리치료 I
|
3.0 |
|
PSY6111 |
정신역동적심리치료 II
|
3.0 |
|
PSY6112 |
인지 행동치료I
|
3.0 |
|
PSY6118 |
아동,청소년상담및심리치료의이론과실제
|
3.0 |
|
PSY6123 |
고급가족치료의이론과 실제
|
3.0 |
|
PSY6126 |
다문화 상담의 이론과 실제
|
3.0 |
|
PSY6129 |
진로상담의이론과실제
|
3.0 |
|
PSY6130 |
진로상담세미나
|
3.0 |
|
PSY6136 |
상담및임상심리연구방법
|
3.0 |
|
PSY6138 |
애착과 부모-자녀관계 세미나
|
3.0 |
|
PSY6139 |
정서 및 정서 장애
|
3.0 |
|
PSY7004 |
상담/임상
수련감독 실습Ⅰ
|
3.0 |
|
연구 | PSY0000 | 논문 | 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