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윤정 교수 |
|
연구분야 및 실적 경력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연구원 한국연구재단 2019 시간강사 지원 사업 연구책임자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강사 카이스트 인문사회과학부 강사 현)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전공 교수 주요 논문 2013, 「<탈해왕>에 드러난 신성(神聖)의 변화 연구- 『삼국유사(三國遺事)』」,「기이편」의 <제4대 탈해왕>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32,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4, 「가문질서의 재생산으로서 여성 행장의 글쓰기 방식 연구- 김만중의 <선비정경부인행장>을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45, 한국문학교육학회. 2015, 「<구운몽도(九雲夢圖)>와 융합 교육의 지향」, 고전문학과 교육 29,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7, 「설화를 통한 장소 경험의 융합교육적 의의-청주지역 전승의 <지네장터> 설화를 중심으로, 고전문학과 교육 34,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7, 「신화소 중심의 설화 이해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8, 「〈토끼전〉의 형성 과정에 드러난 서사적 변화와 의미 연구」, 『고전문학과 교육』 37,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8, 「대립 구조를 활용한 설화 교육의 내용 연구 - <구렁덩덩 신선비>를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59, 한국문학교육학회. 2019, 「서사 간 관계 중심의 설화 이해 교육 연구- <창세가>,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연오랑 세오녀>를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63, 한국문학교육학회. 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 『국어』, 『문학』 교과서의 고전문학 제재 수록 양상 연구」, 『문학교육학』 66, 한국문학교육학회. 2020, 「재난 영화에 드러난 홍수 설화의 서사 전략 연구」, 『구비문학연구』 58, 한국구비문학회. 2021, 「설화와 인터랙티브 드라마의 비교를 통한 서사 교육의 미래 지향에 관한 소고」, 국어교육학연구 56-2, 국어교육학회. 2021,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등 『국어』, 『문학』 교과서 수록 설화의 여성 형상화 방식과 그 교육의 문제」,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43,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2, 「창세신화 간 매개적 서사로서 <셍굿> 연구」, 구비문학연구 64, 한국구비문학회. 2022, 「문화사적 관점에서 <견묘쟁주(犬猫爭珠)> 설화의 이해」 고전문학과 교육 50,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학회활동 및 기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총무이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편집위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