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visual



박슬기 교수


Email       seulkipark@sogang.ac.kr
연구실      J 1123
TEL         02-705-8292
전공분야   현대시


연구분야 및 실적


경력

현)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주요논문

2025, 「‘문학’ 이후의 한국 문학 연구《인문논총》 82권 3호

2024, 「근대 ‘문학’의 문자주의와 전통 ‘시가’의 가창성《열상고전연구》 82호

2023, 「미디어의 예술 기획과 한국 근대시의 상품 형식《한국현대문학연구》 71집

2023, 「근대 문학 기점론에서 기원론으로의 전환 - ‘근대’ 문학에서 근대 ‘문학’으로《상허학보》 69집

2023, 「박서원 시의 아이러니적 주체와 모순어법 -초기작을 중심으로《한국시학연구》 73호

2022, 「임화의 『현해탄』에 나타난 정치적 알레고리《한국현대문학연구》 68집

2022, 「1910년대 미국시 수용과 공리주의 시 인식《동악어문학》 88집

2022, 「1930 년대 한국 모더니즘에서의 바로크 시학《비교문학》 88호

2022, 「『태서문예신보』의 문학주의- 1910년대 말의 감정 구조와 문단의 형성《비평문학》 83호

2021, 「1910년대 『태서문예신보』의 행복 담론-복음주의 기독교 윤리의 내면화《구보학보》 29호

2021, 「1930년대 조선 문학 개념과 경성제대 학자들의 문학사 서술《한국현대문학연구》 63집

2021, 「역사성의 근원으로서의 심미성《인문과학연구》 68호

2020, 김명순의 문학적 글쓰기의 의미한국문학》 74

2019, 김태준의 조선-문학-사 구상과 조선 가요-작품들의 고고학, 문서고로서의 문학사한국현대문학연구》 59

2018, 청춘의 문학, 근대문학의 전도된 기원현대문학의 연구》 66

2016, 자유시라는 기호-기원의 은폐 혹은 상징화어문학》 134

2015, 근대시의 인식과 언문풍월한국시가연구》 38

2014, 한국과 일본에서의 자유시론의 성립한국현대문학연구》 42

2013, 1920년대 초 동인지 문인들의 예술론에 나타난 예술과 자아의 관계개념과 소통》 12

2012, 한국 근대시의 형성과 최남선의 산문시한국근대문학연구》 26

2011, 이광수의 개조론과 기독교 윤리한국현대문학연구》 35

2010, 김억의 번역론-조선적 운율의 정초 가능성한국현대문학연구》 30


저서

2024, 『한국 근대 자유시의 원천과 그 실험들: 최남선에서 김억까지』, 소명출판

2018, 리듬의 이론,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7, 누보 바로크, 민음사

2014, 한국 근대시의 형성과 율()의 이념, 소명출판

2013, (편주역서최남선 선집 12-시가 문학, 경인문화사


연구과제

<한국 프롤레타리아 시의 정치적 알레고리 시학-재현의 정치와 정치의 재현>(단독, 한국연구재단)


학회활동 및 기타

한국시학회 편집이사

한국현대문학회 연구이사

덕성여대 인문과학연구소 편집위원

한국어문교육연구회 편집위원

근대문학회 편집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