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visual

상담심리전공

상담심리학이란?
상담심리학(Counseling Psychology)은 심리학의 한 전문분야로 평생의 발달과정에 걸쳐 개인의 심리사회적 기능 증진을 돕는 학문으로 정서적, 사회적, 교육적, 발달적, 조직적, 건강 관련 문제들의 예방 및 해결에 초점을 둔다.
본 전공은 이론, 연구, 상담 실제를 통합적으로 다룸에 있어 다문화 문제를 항상 고려하는데 개인 및 지역사회의 복지 증진, 스트레스 및 위기상황 대처 능력 향상, 환경적응 능력의 증진에 또한 초점을 둔다. 특히, 본 전공은 정상적인 발달상의 문제들 뿐 아니라 신체적, 정서적, 정신적 장애와 관련된 문제들에도 함께 주의를 기울인다.


교육 목적 및 목표
본 전공의 주요 교육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적인 상담 및 심리치료 이론과 기술 및 기법에 대해 학습하고, 이러한 기본 지식과 상담 기술을 개인상담 뿐만 아니라 집단 및 부부․가족 치료에서도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상담을 위해 성격․학습․인지심리학 등의 관련 심리학 영역들에 대한 학습과 함께 다양한 심리검사를 실시, 채점, 해석할 수 있는 상담자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셋째, 학교 및 지역사회 장면에서 다양한 문제로 상담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전문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교육자이자 전문상담자의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넷째, 학교 및 지역사회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갈등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데 필요한 상담심리학의 전문 지식과 상담 기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및 지역사회 정신건강 증진에 헌신하는 교육자이자 상담전문가 육성
둘째, 전문적이고 실천적인 교육자이자 상담전문가 육성
셋째, 윤리적이고, 선도적이며, 창의적인 연구자, 교육자, 전문상담자의 육성


교육과정
교육과정은 전공필수와 전공선택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교과목은 아래와 같다.
전공과목명
번호 전공 필수 과목(Requirements) 학점
300  상담이론과 실제 ( Theories and Practices of Counseling) 2
302  성격심리 ( Theories of Personality) 2
전공 선택 과목(Electives)
411 현대 심리학 특강 (Studies in Modern Psychology) 2
412 학교 심리학 (School Psychology) 2
413 사회 심리학 (Social Psychology) 2
414 발달 심리학 (Developmental Psychology) 2
415 적응 심리학 (Psychology of Adjustment) 2
416 조직 및 산업심리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
417 진로상담 (Career Counseling) 2
418 생활지도연구 (Guidance and Counseling) 2
420 면접이론과 실제 (Theories and Practices of Interview Skills) 2
421 이상심리 (Abnormal Psychology) 2
422 심리검사 (Psychological Assessment) 2
423 정신분석학 (Psychoanalysis) 2
424 가족상담 (Family Counseling) 2
425 행동수정 (Behavior Modification) 2
426 집단상담 (Group Counseling) 2
427 사목(목회)상담 (Pastoral Counseling) 2
431 현대 심리치료 (Current Psychotherapies) 2
433 상담심리 연구방법론(Research Methodology in Counseling) 2
434 상담심리 세미나 (Seminar in Counseling Psychology) 2
435 상담실습 및 사례연구 (Counseling Practicum and Case studies) 2
436 특수아상담 (Counseling For Special Children) 2

437

아동심리 및 발달 (Child Psychology & Development)

 2 
438 청년발달 (Adolescent Development) 2
439 학습심리 (Psychology of Learning) 2
550

논문 (Thesis)

6

560

개별과제연구 (Independence Study)

4


학기별 개설 교과목
봄(학기) 가을(학기)

상담이론과 실제(1,2)

(EDUC300)

성격심리(1,2)

(EDUC302)

이상심리(1,2)

(EDUC421)

가족상담(3,4)

(EDUC424)

심리검사(1,2)
(EDUC422)

청년발달(1,2)

(EDUC438)

집단상담(3,4)
(EDUC426)

진로상담(3,4)

(EDUC417)

특수아상담(3,4)
(EDUC436)

행동수정(3,4)
(EDUC425)

현대 심리치료법(3,4)

(EDUC431)

면접이론과 실제(2-3)

(*교생실습 전 필수 이수 과목)

(EDUC420)

학교심리학/아동심리및발달(1~4)

(EDUC412/437)

청년발달/학습심리학(1~4)

(EDUC414/439)

상담실습 및 사례연구(4)

(EDUC435)

상담실습 및 사례연구(4)

(EDUC435)

교육연구방법론**

(EDUR210)

교육통계학**

(EDUR212)

*수강 신청 시( )안에 표시된 학기에 따라 수강하시기 바랍니다.

(전공 교과목의 학습 위계에 따라 수강 학기가 배정됨).

**전공 교과목은 아니지만 논문 및 졸업보고서 준비를 위해 과목으로 개설되는교육통계학교육연구방법론의 수강을 권장합니다.



교수진(가나다순)

김근영 (교수, 발달심리학) 연구실: D538 (705-7970)
김진형 (조교수, 사회 및 성격 심리학) 

연구실: D634 (705-8384)

김향숙 (교수, 임상심리학)

연구실: D533 (705-7971)

김현식 (조교수, 임상심리학)

연구실: D639 (705-4753)

나진경 (교수, 사회심리학) 연구실: D344 (705-8834)

석혜원 (조교수, 계량심리학)

연구실: D341 (705-8328)
안명희 (교수, 상담심리학) 연구실: D336 (705-8837)

연규진 (교수, 상담심리학)

연구실: D336 (705-8327)
이창환 (교수, 인지심리학) 연구실: D335 (705-8836)
장재윤 (교수, 조직심리학) 연구실: D537 (705-7956)
장재홍 (교수, 상담심리학) 연구실: D334 (705-8336)

한기백 (교수, 상담심리학, 전공주임)

연구실: J711 (705-4773)

학사일정
번호 세부일정
1학기 3

☆ 개강

★ 서교상 안내서 발간

수강과목 확인 및 변경
수강과목 취소 마감
논문지도교수 배정신청(3학기생)
외국어 시험(3학기생)
★ 다산분회1-1

4

종합시험(4학기생)
부활절 휴가
논문 및 연구계획서 제출(4학기생)
학위청원서 및 논문 제출 승인서 제출(5학기생)
★ 다산분회1-2

5

☆ 교육실습

☆ 휴학원서 제출 마감

☆ 스승의 날 행사

★ 다산분회1-3

6

☆ 가을학기 입학시험 및 사정

☆ 학기말 시험 기간

☆ 학기말 성적제출 마감

☆ 논문 및 졸업보고서 심사(5학기생)

★ 다산분회1-4

7

☆ 완성논문 제출마감(5학기생)
★ 여름방학 특강

8

☆ 수강신청
★ 신입생 MT 및 OT / 신입생 수강신청

2학기 9

개강
서교상 안내서 발간
수강과목 확인 및 변경
수강과목 취소마감

☆ 논문지도교수 배정신청(3학기생)

☆ 외국어시험(3학기생)

★ 다산분회2-1

10

☆ 논문 및 연구 계획서 제출(4학기생)

☆ 종합시험(4학기생)

☆ 학위청원서 및 논문 제출 승인서 제출(5학기생)

★ 다산분회2-2

11

☆ 휴학원서 제출 마감

☆ 봄 학기 입학시험 및 사정

★ 다산분회2-3

12

학기말 시험기간
학기말성적 제출 마감
논문 및 졸업보고서 심사(5학기생)
★ 다산분회 2-4

1

완성논문 제출마감(5학기생)
★ 겨울방학 특강

2

봄학기 등록기간 / 봄학기 휴복학원서 제출
수강 신청
학위 수여식
★ 신입생 MT OT

*참고:휴학원서 제출 마감2주 전까지 전공 주임 교수님과 면담하시기 바랍니다.

는 서강상담심리 학우들의 상담 및 연구 능력의 함양과 선후배 간 화합·교류를 위해 재학생들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활동입니다.


전공실습

다산분회
다산분회란?

한국 상담심리학회로부터 공인된 전통이 있는 분회로 한 달에 한 번 상담사례를 상담심리 전문가들(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전문가 2)을 모시고 함께 공부하는 자리입니다. 학기 중에 진행되며 사례발표를 희망하는 재학생 또는 동문들이 진행한 사례를 대상으로 공개 사례 수퍼비전이 진행됩니다.


한국 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2급 자격요건
상담심리사 자격증에 관심이 있으신 선생님들도 많이 계실 것 같습니다.학회에서 요구하는'자격심사 청구를 위한 최소 수련내용 중상담사례 연구활동''학회 월례회2회 이상을 포함하여 분회,상담사례 토의모임에 총10회 이상 참여'가 있습니다.

 

다산분회 일정

다산분회는 매월 셋째 주 금요일 오후6:00(대면)/7:00(비대면)에 진행됩니다.

**분회참가비는 회당 10,000(대면/비대면)입니다.

  

상담사례 배포

사례유출을 막기 위해 출력물로 배부하고 있습니다.사례 출력물은 분회 당일 날 사례 행사장에서 배부합니다.

*온라인으로 진행될 경우 사례를 별도로 배포하지 않고,약 30분간(19:00~19:30)발표자가 사례를 설명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다산분회 회원규정사항

1.회원자격:재학생 및 졸업생 중 학기 당1회 이상 참가자

*분회는 상담의 실제를 간접적으로 경험하기 위한 학습의 자리이므로 재학생은 “3회 필수 참석이 요구됩니다.

2.외부참관자 요건:한국 상담심리학회 회원 및 상담관련 전공학생에 한함
(상담심리학회 회원은 회원증,전공학생일 경우 학생증 지참 시 참관 가능)

*외부참관자 다산분회 참가비: 12,000

*온라인 분회의 경우,비밀 보장 문제로 외부 참관이 불가능


다산분회 문의사항

2025년 2학기 다산분회 담당자는 집행기수 67기 김나연과 정지현입니다. (e-mail : sgdasan@daum.net)



전공관련 자격증
자격증명 발행청 종별 기본 취득자격
전문상담교사
(2급)
교육인적자원부 국가
자격증
상담·심리학 관련 학부(전공학과)를 졸업한 상담심리 전공자로 학부와 대학원에서 일정 과목을 이수한 자
전문상담교사
(1급)
교육인적자원부 국가
자격증
교사 경력 3년 이상 되고 대학원에서 일정한 과목을 이수한 자


졸업요건

재학 중에 아래의 조건을 충족시켜야 졸업논문심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조건 세부 내용 실시 시기
1. 영어 시험 70점 이상 3학기
(3월/10월)
2. 종합시험 70점 이상 4학기
(3월/10월)
3. 논문계획서 서론, 이론적 배경,
연구방법을 포함한 proposal 제출
4학기
(4월/10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