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의 설계 및 경영에서의 연구문제를 현장에서 찾아내어 이를 규명하고, 해답을 구하는 데 필요한 연구설계모형, 자료 수집 및 분석의 과학적 방법을 다룬다.
340. 교수설계 연구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2학점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이론적인 이해를 토대로 다양한 교수-설계의 유형을 탐색하고, 새롭고 독창적인 설계안을 개발하는 능력을 기른다.
344. AI융합교육의 이해와 설계 Designing AI Integrated Education 2학점
초중등, 대학 및 성인 학습자 대상 교육에 있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학습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도모한다.
436. AI융합교육을 위한 프로그래밍 기초 Basic Programming for AI Integrated Education 2학점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교육에 활용하는 데 필요한 기본 프로그래밍 역량을 함양한다. 향후 현장 적용 가능한 AI융합교육 설계능력을 갖추기 위하여 필요한 과목이다.
437. 교육문제해결을 위한 데이터 과학 Data Science for Solving Educational Problems 2학점
데이터과학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다양한 교육문제들을 데이터과학으로 해결하는 사례 및 방안을 탐색한다.
438. 학습플랫폼설계의 이해와 실제 Theory and Practice of Designing Learning Platforms 2학점
학습역량 제고를 위해 교육빅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는 데 최적화된 플랫폼 설계 역량을 기른다.
439. AI시대의 교육경영 Educational Management in the Age of AI 2학점
첨단 IT를 활용하는 교육조직 및 기관의 관리 및 조직운영 역량을 함양한다.
440. 교육리더십의 이론과 실제 Theory and Practice of School Leadership 2학점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서 각자 지니고 있는 능력, 시간, 에너지 등을 자발적으로 투입하도록 하는 영향력으로서 리더십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이론적으로 다루고 실제에 적용한다.
442. 에듀테크활용 교육환경 설계 Designing of EduTech-based Learning Environments 2학점(구: 테크놀로지 기반 교육환경의 설계 및 활용)
첨단 에튜테크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하는 학습환경을 설계 및 개발하는 역량을 함양한다.
443. 교육공학 연구동향 및 쟁점 연구 Current Trends & Issues of Educational Technology 2학점
교육공학의 주요 개념과 문제영역, 연구방법론, 활용방법 등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더불어 주요 이슈와 동향을 분석하는 안목을 습득한다.
445. 교수-학습이론 Theories in Teaching and Learning 2학점
교수-학습의 본질과 과정에 대한 다양한 관점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각 관점들이 지니는 실천적 시사점을 분석한다.
447. 교육용 컨텐츠 설계 Design of Educational Contents 2학점
교육용 컨텐츠의 특징, 개발의 원리 및 방법론 등을 분석하고, 효율적 설계를 위한 구성, 표현, 평가 전략 등을 학습한다.
452. 수업설계 및 지도의 실제 Practice of Instructional Design and Delivery 2학점
교육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수업의 내용과 방법을 다양하고 독창적으로 설계하고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른다.
456. 교육행정 이론 Theorie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학점
교육행정 이론의 발달과정을 고찰하고 교육행정 현상을 기술․설명․예언하는 데 있어서 각 이론이 갖는 특징과 제한점을 연구한다.
459. 교육조직론 Educational Organization 2학점
조직의 개념, 원리, 유형, 조직풍토와 조직발전, 조직건강 등을 연구하며 교육조직의 특성, 구조 및 형태를 분석·연구한다.
461. 교육재정론 Educational Finance 2학점
교육제정 및 교육비의 개념, 교육재정의 원칙, 교육예산의 편성과정 및 관리기법 등을 연구하며 우리나라 교육재정 현황과 문제를 분석한다.
463. 교육디자인의 이해와 적용 Theories and Practice for Designing Education 2학점
미래지향적인 교육체제로의 발전과 변화를 도모하기 위한 교수체제의 설계와 적용 방안에 대해 연구하며, 교육기관경영의 기획·실천·평가에서 정보기술의 활용에 관한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여 구체적인 현장적용 능력을 함양한다.
465. 교육제도론 Educational Systems 2학점
교육이념과 교육제도와의 관계, 교육제도를 구축하는데 고려되는 기본원리, 학제의 세계적 동향 등을 연구하며 우리나라 교육제도 발전의 방향을 탐색한다.
466. 교육법규 Educational Law 2학점
교육관계 법규의 주요내용과 교육법규 제정 및 시행과정을 연구하고 교육관계 법규의 해석과 적용에 관한 사례를 분석한다.
467. 한국교육정책론 Educational Policy in Korea 2학점 (구: EDUI341 한국교육정책론)
한국 주요 교육정책의 배경, 형성과정, 현황 및 쟁점 등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탐구한다.
469. 교육정치학 Politics of Education 2학점
교육과 정치의 관계를 탐구하고, 구체적으로 정치가 교육에 미치는 영향, 교육이 정치에 미치는 영향, 교육제도와 정책의 정치적 특성 등을 연구한다.
472. AI시대의 전략적 HRD Strategic HRD in Age of AI 2학점(구: 인적자원개발과 기업교육)
인적자원개발의 목적, 전략, 기획, 설계, 평가 과정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기업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을 기획 및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473. 교육기관 및 프로그램 평가론 Evaluating Educational Institutions & Programs 2학점
교육기관과 프로그램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기관 및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이론을 검토한다. 또한 평가의 개발, 시행, 결과 적용과 관련된 이슈들을 이해하고 해결책을 찾도록 한다
474. 창의융합교육의 설계 및 개발 Design & Development of Creative Integrated Curriculum 2학점
역량과 주제 중심의 교육과정을 설계 및 개발하는 데 관련된 개념과 이론들을 학습한다. 그리고 융합교육과정을 설계 및 개발하는 과정을 통해 융합교육 설계 역량을 향상시킨다.
475. 코칭과 멘토링 Coaching & Mentoring 2학점
학습자의 지적, 정의적 영역에 걸쳐 학습자를 지원하고 안내하는 데 필요한 이론과 방법들을 검토한다. 아울러 학습자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바탕으로 학습자 주도적인 목표 설정과 성취를 돕는 역량을 키운다
476. 학습과 수행의 평가 Evaluating Learning & Performance 2학점
학습자의 역량을 측정 및 평가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이론과 방법들을 검토한다. 평가도구의 개발, 실행, 적용 경험을 통해 타당하고 신뢰로운 평가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477. AI융합·에듀테크 현장연구 프로젝트(캡스톤디자인) AI & EduTech Field Research Practicum(Capstone Design) 2학점
(구:AI융합·에듀테크 현장연구 프로젝트) AI융합교육 또는 에듀테크 활용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개발해봄으로써 테크놀로지 적용능력을 기른다.
550. 논문 Thesis 6학점
논문은 지도교수의 지도 아래 석사학위 청구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으로서 최종학기(5학기 이상)에만 등록, 이수할 수 있으며, 이수학점은 6학점으로 한다.
560. 개별과제연구 Independence Study 4학점
개별과제연구는 학점 중심과정을 선택한 학생이 석사학위 청구를 위하여 이수하는 과목으로 최종학기(5학기 이상)에만 이수할 수 있으며, 이수학점은 4학점으로 한다.